밥만 먹으면 바로 ‘화장실행’… 알고 보니 변비?

흔히 배변을 위해 화장실을 가는 횟수가 현저히 줄어든 상태를 변비라고 한다. 그런데 화장실을 자주 감에도 불구하고 배가 항상 묵직하다면, 이 또한 변비일 수 있다. 또 음식을 먹자마자 화장실을 가는 것도 변비의 일종이다.

스트레스와 나쁜 배변 습관으로 변비 환자 점점 늘어

변비는 △배변 횟수가 주 3회 미만이거나 △배변 시 과도하게 힘을 주거나 △딱딱한 변을 보거나 △배변 후 잔변감이 있거나 △항문이 막힌 듯한 느낌이 들거나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위해 변비 약이나 관장 등의 부가적인 처치를 해야 하는 경우 중 2가지 이상의 증상이 3개월간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증상인 변비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그 빈도가 증가하고,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흔히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변비 환자 수는 2011년 57만 9,000명, 2015년 61만 6,000명, 2020년 63만 6,000명으로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변비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는 뭘까. 나이에 따른 몸의 노화나 직장 스트레스, 무분별한 다이어트, 과도한 약물 복용, 계절에 따른 변화, 나쁜 배변 습관 등으로 변비가 올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 원인일 뿐 오랜 시간 동안 변비 증상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있다. 정확한 원인 파악을 하지 못한 것이 그 이유다. 변비는 원인과 증상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이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진다. 특히 경련성 변비의 경우 정확한 진단 없이 시중에서 파는 변비 약을 복용하면 오히려 경련이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변비라고 다 같은 변비가 아니다

변비는 우선 크게 기질성 변비와 기능성 변비로 나뉜다. 기질성 변비는 대장암이나 게실염 등의 염증, 허혈성 대장염, 장축염전증 등 대장이 구조적으로 막혀서 생기는 변비를 말한다. 이런 경우에는 근본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면 저절로 해결된다. 그러나 가벼운 변비라고 생각하고 방치하면, 원인 질환까지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한편, 기능성 변비는 기질성 변비와는 달리 특정 질환은 없지만 대장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변비 환자들은 기능성 변비를 겪는데, 기능성 변비는 △이완성 변비 △경련성 변비 △직장형 변비로 나뉜다.

먹으면 바로 화장실행, 이완성 변비

이완성 변비는 대장의 운동력이 떨어져서 생기는데, 이 경우 음식을 먹으면 섭취한 음식의 압력에 의해 기존에 오랫동안 쌓여있는 변이 밀려나오게 되므로, 식후에 유독 변의를 느낀다. 즉, 음식을 먹자마자 화장실을 간다면 이완성 변비를 의심할 수 있다.

이완성 변비는 대장 운동이 약해져 변을 밖으로 밀어내지 못하고 장 속에 담고 있다 보니, 수분이 많이 흡수되어 변의 부피가 적어지고 딱딱해지며 복부 팽창감을 느낀다. 그래서 환자의 왼쪽 배 부분을 만져보면 변이 만져지며, 한번 배변을 할 때 양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대장 기능이 노화된 사람에게 주로 나타나는 이완성 변비는 노인뿐 아니라 젊은 사람이라도 장 운동 세포가 노화됐거나 오래 누워서 지내는 사람, 위하수나 대장하수가 있는 사람에게 많이 생긴다.

토끼똥이나 실똥이면, 경련성 변비

경련성 변비는 말 그대로 대장이 경련을 일으켜 생기는 변비이다. 변을 보고 싶어도 배에 가스만 찰뿐 변이 쉽게 나오지 않는다. 복통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어렵게 배변을 해도 일명 토끼똥이나 실똥 형태로 나온다. 처음에는 딱딱한 변이 나오다가 그다음에 설사처럼 무르고 가는 변이 나온다. 주로 젊은 사람들 특히 젊은 여성에게서 잘 나타나며, 위궤양이나 스트레스, 담석증 등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과민성 대장증후군과도 관련이 있는 경련성 변비는 일반 변비약으로 치료되지 않는다. 시중에 판매되는 변비약은 주로 이완성 변비를 치료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의가 진단하는 경련성 변비약을 처방받는 것이 좋다.

화장실에서 힘만 주고 나온다면, 직장형 변비

직장형 변비는 변이 잘 내려오다가 갑자기 직장에 걸려 더 이상 내려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배변 시 항문 괄약근이 이완되어 대변이 나오는데, 직장형 변비는 괄약근의 이완이 잘되지 않거나 오히려 더 긴장되면서 변이 나오지 않게 된다.

보통 변의를 습관적으로 억제해 감각 기능을 상실하거나 나쁜 배변 습관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직장형 변비는 항문 속에는 변이 가득한데 힘을 줘도 변은 나오지 않아 힘만 주다가 화장실을 나오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심해지면 배변 통증도 커지고, 스스로 배변이 힘들어지며 묽은 변이 조금씩 옷에 묻어나기도 한다.

섬유질 많은 음식 섭취와 꾸준한 운동 필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사 김칠석 원장(강서송도병원)은 “장내 숙변은 오래될수록 대장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최대한 빨리 해결하는 것이 좋으며, 섬유질이 많은 음식 섭취와 꾸준한 운동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배변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배변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변비는 여러 형태가 섞여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인 증상만으로 원인과 종류 파악이 어렵다. 변비 증상이 오래도록 지속된다면, 전문의의 진찰과 기능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변비는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이완성 변비로 진단되면 장 운동을 촉진하는 약물 치료를 주로 하며, 규칙적인 아침 산책 등의 운동과 식이요법이 도움 된다.

경련성 변비는 대부분 스트레스가 원인이므로 스트레스 관리가 필수이다. 평소 장에 무리를 주는 술이나 콜라, 인스턴트 음식 등을 삼가도록 한다. 자극이 적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

내괄약근의 과다한 압력이 원인인 직장형 변비는 이완형 변비나 경련성 변비와는 달리 항문이완요법을 통해 치료해야 한다. 항문이완요법은 항문이 열리지 않는 변비 환자들을 위해 항문을 여는 연습을 하는 것으로, 이 치료를 받으면 항문에 압력을 측정하는 전기센서를 단 채 복압 상승과 항문 압력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보면서 어떻게 힘을 써야 복압이 상승되며 항문이 열리는지 스스로 찾아내고 훈련할 수 있다.

변비 예방을 위해서 평소 생활 습관도 중요하다. 아침에 일어나면 물이나 우유를 1~2잔 마시고, 아침 식후에는 변의가 있든 없든 화장실 가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또 식물성 섬유소가 많은 식사를 하고, 물은 하루 8잔 이상 충분히 마시면 변비 예방에 도움 된다. 변비에 좋은 복부 마사지와 체조 등을 틈틈이 하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