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터널증후군은 팔을 굽힐 때 손으로 가는 신경과 혈관이 압박되면서 신경에 혈액이 잘 돌지 않게 되면서 약지와 새끼손가락이 저리는 증상이다.주먹을 쥐고 있다가 손가락을 하나씩 펴보자. 약지(네번째)와 소지(다섯번째)를 펴기 어렵고, 팔의 안쪽과 약지, 소지를 따라 손의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가?
약지와 소지가 펴기 어렵고 갈퀴 모양처럼 구부러지거나, 손가락을 따라 근육이 위축돼 손에 살이 빠진 것처럼 보인다면 팔꿈치터널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심한 경우 손아귀의 힘이 떨어져 손을 사용해야 하는 정밀 작업이 어려워져 일상에 지장을 받는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손목터널증후군과 함께 상체에서 흔히 발생하는 말초신경압박증후군이다. 팔에는 요골신경과 정중신경, 척골신경이라는 세 가지 신경이 지난다. 이 중 척골신경은 주관이라고 부르는 팔꿈치 안쪽의 작은 터널 부위를 지난다.
이곳을 지나는 과정에서 척골신경이 압박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통증과 손 저림이 나타난다. 척골신경은 주로 4, 5번째 손가락인 약지와 소지에 신경이 분포돼 있어 이 부위의 저림과 통증을 통해 위험을 어느 정도 판단할 수도 있다.
팔베개 등 생활 습관도 원인
손가락과 팔 안쪽에 저린 증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병원에서 진단받기 전까지는 다른 질환으로 오해하기 쉽다. 또한, 혈액순환이나 몸살 등으로 생각해 치료를 미루다가 일상생활에 지장이 왔을 때 병원을 찾게 되어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손가락 부위와 팔 안쪽에 저린 증상 등이 지속된다면 되도록 빨리 검사를 받아보아야 한다.
팔을 굽힐 때 손으로 가는 신경과 혈관이 압박되어 신경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 발생한다. 손목과 팔목을 자주 사용하고 굽히는 가정주부나 요리사, 사무직, 투수, 목수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이나 휴대폰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에게 나타나기 쉽다. 휴대전화의 사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팔꿈치터널증후군 발생 연령층이 낮아지고 발생률 또한 증가 추세다.
생활습관도 발병 요인이다. 팔꿈치를 구부리고 턱을 괴는 습관이 있는 사람, PC나 책상에서 작업할 때 관절을 굽힌 채 오랫동안 일하는 사람, 스스로 팔베개를 하고 자는 습관을 지닌 경우 주의해야한다. 골절과 물혹, 당뇨성 신경병증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의 통증, 저린 증상을 확인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다. 주먹을 쥔 채로 팔꿈치를 구부려 귀 가까이에 댄 자세를 1분 정도 유지하여 약지와 소지 손가락에 저린 증상, 통증이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증상이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생활 습관 개선과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약물치료나 주사 치료를 시행 수 있다. 이 같은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척골신경을 압박하는 구조물을 제거하는 수술을 고려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