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균은 대장에서 사람이 소화하지 못한 물질을 발효시켜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낙산 등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을 생성한다. 각각의 단쇄지방산을 주로 생성하는 균의 종류는 다르다. 그중에서 락토균이나 비피더스균은 프로바이오틱스로 연구되며 상업적으로 쓰이는 것은 ‘낙산균’ 뿐이다. 다양한 단쇄지방산 생성균 중에서 오직 낙산균만 따로 연구되고 활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장 점막의 방어기전 강화에 중요한 ‘낙산’
낙산균은 보통 사람의 장에 살고 있다. 그래서 일반 프로바이오틱스를 먹고 유익균이 살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면 자연스럽게 낙산균이 활성화된다, 이와함께 유익균의 먹이로 쓰이는 프락토올리고당 등 프리바이오틱스를 섭취해도 낙산균의 활동 및 낙산 생성이 증가한다.
낙산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과 달리 대부분 대장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낙산이 부족하면 장 점막을 구성하는 상피세포의 손상 회복 또는 재생이 잘 이뤄지지 않아 튼튼한 장 점막 방어기전 유지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우리 몸의 1차 방어막인 장 점막이 약해지면 병원균 및 독소 등이 혈액을 통해 체내로 더 쉽게 유입돼 전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평소 장 내에 낙산균이 충분했다면, 일반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프리바이오틱스 섭취로도 도움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 프로바이오틱스로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했다면, 직접 낙산 생성을 증가시키는 ‘낙산균’ 또는 ‘낙산’을 활용하는 게 효과적이다.
◇ 대장 건강 관리 목적으로 연구되는 낙산균
낙산이 대장 세포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만큼, 낙산균의 유익성은 주로 대장 건강에 초점을 맞춰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낙산균 관련 동물시험 연구에서 고지방 식이 섭취 후 증가한 대장 점막의 염증이 낙산균 섭취 후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이 부분은 낙산을 활용한 연구에서도 많이 관찰되는 결과다.
낙산균을 오랫동안 연구한 일본에서는 특정 질환자의 건강 관리에 낙산균의 효과를 검증하기도 한다. 2015년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수술 후 합병증인 주머니염(pouchitis) 예방에 낙산균의 효과를 검토한 논문에 따르면, 위약을 섭취한 그룹의 50%에서 주머니염이 발병한 반면 낙산균 섭취 그룹에서는 11%만 발생했다. 17명 대상의 소규모 연구라는 한계가 있지만, 특정 질환자 대상의 연구라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 면역세포 조절 기능 가능성도 연구되는 낙산균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낙산균 관련 인체적용시험이 일본처럼 다양하진 않다. 하지만 낙산균이 포함된 복합 프로바이오틱스가 변비나 묽은 변 등 일반적 장 불편 증상 개선용 처방의약품으로 활용될 만큼 낙산균의 가치는 주목받고 있다.
낙산균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되는 또 하나의 분야는 바로 면역세포 조절 기능이다. K-낙산균 특허 정보에서는 세포시험 결과 낙산균의 항바이러스 관련 신호 전달 분자가 활성화되거나 동물실험에서 낙산균을 섭취한 그룹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후 치사율 및 체중감소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밝혀진 것보다 밝혀져야 할 것이 많은 낙산균. K-낙산균을 시작으로 국내 낙산균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그동안 장 관련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이 연구결과와 제품 상업화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