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레이브스병은 내분비기관인 갑상선과 관련한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입니다.
면역체계의 공격으로 인해 갑상선이 정상적 혹은 필요로 하는 양 보다 더욱 많은 양의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하게 되며 이로 인헤 신체의 대사작용이 전반적으로 매우 항진되어 과부하를 유발합니다.
낯선 이름과는 달리 생각보다 흔한 질환이기도한데 미국의 경우는 100명 중 약 1명꼴, 우리나라에서는 이보다 높은 0.3~2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원인 중 약 80%를 그레이브스병이 자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레이브스병에 대한 정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레이브스병 원인 및 위험군
그레이브스병 원인

대부분의 자가면역질환이 그러하듯 그레이브스병 역시 발병원인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유전적 문제와 같은 내인성 요인 및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요인이 트리거로 작용하여 발생할 것이라고 추정되는 상태입니다.
그레이브스 병에 해당될 경우 인체의 면역체계가 갑상전자극 면역글로불린(TSI)라불리우는 갑상선호르몬 자극호르몬(TSH)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항체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합니다.
그레이브스병 위험요인

- 그레이브스병은 남성에 비해 여성환자의 비율이 매우 높아 성별에 따른 영향이 매우 크며 30대 이후에 발생이 증가합니다.
-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병과 같은 갑상선 관련 질환의 가족력이 있을 경우 발병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통계 분석이 있습니다.
- 류마티스관절염, 백반정, 1형 당뇨병 등 자가면역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발생가능성이 증가합니다.
- 니코틴 사용시 그레이브스 병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 식단에 너무 많은 요오드 식품이 포함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레이브스병 증상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전형적인 증상과 유사한 임상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왕성한 식욕 혹은 일반적인 식사량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감소함.
- 심박수의 전반적인 증가 및 불규칙성 호흡이 빠르게 가빠짐
- 대변 횟수 증가, 설사
- 신경과민, 수면장애, 만성피로
- 갑상선호르몬이 대사과정을 통해 체온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므로 발한, 더위에 대한 취약성 증가
- 근골격계 경련, 근육 위축, 근무력증, 근력 약화
- 갑상선 크기의 증가
- 생리불순 무월경 등
안구관련 문제

그레이브스 병을 앓는 환자의 약 30% 가량이 그레이브스 안병증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구의 돌출 및 부기 등 외관적으로 보이는 모습 뿐만 아니라 눈의 압력이나 통증과 같은 임상증상 및 눈부심, 시력저하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면역체계가 안구 주변의 근육 및 조직을 공격하면서 발생합니다.
그러나 모든 그레이브스병 및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에게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피부문제
일부의 그레이브스 환자에게서 피부발진, 두꺼워짐, 가려움증 등의 문제가 나타나며, 체모가 손실되는 경우도 있으며, 정강이뼈 앞 쪽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러나 원인질환이라고 볼 수 있는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 될 경우 피부 및 탈모 등의 문제 역시 회복됩니다.
합병증

그레이브스병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매우 심각한 건강질환의 문제를 발생시킬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혈전, 뇌졸중, 심부전과 같은 심혈관계의 질환이며, 골다공증, 근육의 약화 및 안구기능의 영구적인 저하, 여성의 경우 생식기능의 문제 등이 대표적입니다.
영구적인 후유증이 남지 않도록 빠르게 적절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그레이브스병 치료 및 관리

증상이 경미하고 예후가 좋은 경우 특별히 치료를 하지 않아도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레이브스병 및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항갑상선제, 방사성요오드요법, 수술적 요법 등이 활용되지만 1차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방법은 약물입니다.
안구와 관련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에 특화된 치료 및 관리방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이나 갑상선기능 항진증에 해당된다면 금연해야하고, 안구 증상이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수면시 머리 높이기, 점안액 사용, 선글라스 사용 등의 방법을 통해 증상을 관리하도록 합니다.